· 다중 프로그래밍(멀티 프로그래밍) :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CPU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처리
Q.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CPU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처리하여 컴퓨터 시스템 자원 활용률을 극대화하기위한 프로그래밍 기법은?
A. 멀티 프로그래밍
· PCB(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
- 프로세스 상태
- 프로세스 카운터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 중앙처리장치 레지스터 보관 장소
- 프로세스 고유 구별자
- 부모,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 공유X / 프로세스의 사용 빈도X / 프로세서의 생성 정보X / 파일 할당 테이블X / 할당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X)
Q. 적응기법(Adaptive Mechanism)이란 시스템이 유동적인 상태 변화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다음 스케줄링 기법 중 적응 기법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는 것은?
A. MFQ
Q. 선점 기법과 대비하여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
A. 가.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를 공정히 처리한다.
나. 응답 시간의 예측이 용이하다.
다.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라. CPU의 사용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들이 사용 시간이 긴 프로세스로 인하여 오래 기다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스레드(Thread) :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 교착상태 해결방법
- 예방(Prevention)기법
= 상호 배제 부정
= 점유 및 대기 부정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할당하여 프로세스 대기를 없애거나 자원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함
= 비선점 부정
= 환형 대기 부정
- 회피(Avoidance) 기법
=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
= 주로 은행원 Banker 알고리즘에 사용됨
=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불안전 상태라고 함
(불안전 상태의 모든 시스템은 교착상태X / 교착상태를 완전히 배제X / 사전에 교착상태 배제X)
- 발견(Detection) 기법
=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상태가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
= 자원할당그래프 이용
- 회복 기법
= 교착상태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점하여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하는 것
· 기억장치 관리 전략
- 반입(Fetch) 전략 :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
- 배치(Placement) 전략 : 최초 적합 / 최적 적합 / 최악 적합
- 교체(Replacement) 전략 : 페이지교체 알고리즘을 이용
· 가상기억장치
- 페이징 기법
= 내부 단편화
= 하나의 작업을 동일한 크기로 나눔
= 주소 변환을 위해 페이지 맵 테이블 필요
= 페이지 크기를 일정하게 나누어진 주기억장치의 단위를 페이지 프레임
- 세그먼테이션 기법
= 외부 단편화
= 하나의 작업을 서로 다른 크기로 나눔
= 기억장소 보호 방법으로 기억장치 보호키 사용
= 세그먼트 맵 테이블 필요(페이지 맵 테이블X)
· 파일 디스크럽터
- 파일이 액세스되는 동안 운영체제가 관리 목적으로 알아야 할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아 놓은 자료구조
- 파일 디스크럽터의 정보
= 파일 이름, 파일 구조, 보조기억장치의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최종 수정날짜 및 시간 등(오류발생시 처리방법X / 파일내용X)
· 프로세스 연결 방식
- 시분할 및 공유 버스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들 간에 하나의 버스 통신로만을 제공
- 크로스바 교환 행렬 : 공유 버스 시스템에서 버스의 수를 프로세서의 수만큼 증가시킨 구조
- 하이퍼 큐브 : 연결점이 n개인 경우 프로세서는 총 2ⁿ
·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상호 연결 구조 방식
- 공유 버스, 크로스바 스위치, 다단계상호연결망(코드분할스위치X / 큐브X)
· 파일 시스템의 구조
- Boot 부트 블록 : 부팅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Super 슈퍼 블록 : 사용가능한 I-node, 사용가능한 디스크 블록의 개수,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저장, File 시스템마다 각각의 슈퍼블록 가지고 있음
- I-node 블록 : 각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파일소유자, 파일크기, 파일타입, 생성시기, 최종수정시기, 파일링크수,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시작 주소 등
(파일경로명X /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X / 파일의 사용된 횟수X)
'정보처리기사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운영체제의 실제 (0) | 2017.02.12 |
---|---|
5장 분산 운영체제 (0) | 2017.02.12 |
4장 정보 관리 (0) | 2017.02.12 |
3장 기억장치 관리 (0) | 2017.02.10 |
2장 프로세스 관리 (0) | 201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