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T(Very High Throught) : IEEE에서 802.11n 후속으로 진행하고 있는 표준안

시공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 WCDMA 시스템에 적용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

기가파이 : 60GHz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가급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모든 단말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마그네틱 안전 전송 :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을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근접시켜 신용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

WiFI : 2.4GHz대를 사용하는 무선 랜 규격에서 정한 제반 규정에 적합한 제품에 주어진 인증 마크

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것

신 클라이언트 PC : 하드디스크나 주변 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Phablet : 패블릿 / 태블릿 기능을 포함함 5인치 이상의 대화면 스마트폰

ACN : AP가 내장된 단말기로 구성된 네트워크

BYOD : 개인 소유 단말기를 업무에 사용하는 환경

LTE : 4세대 이동 통신 기술

스마트폰 : 피처폰에 비해 진보한 연산능력과 접속성을 겸비한 모바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 전화

펨토셀 기지국 : 사무실이나 집에 설치하는 초소형 이동 통신 기지국

개인환경서비스 :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바일 컴퓨팅 :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넷북 : 휴대형 미니 노트북 컴퓨터

SCO :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 / 블루투스 데이터 링크의 하나로, 두 장비 간에 음성과 같이 지정된 대역폭 통신을 위한 전용 회선의 동기식 접속 방법

AP(Access Point, 무선 접속장치) : 무선 랜과 유선 랜을 연결시켜 주는 장비로서, 전파 도달 거리 내의 무선 랜 카드를 사용하는 컴퓨커나 무선 기기들이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함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사용자 인증을 목저으로 휴대전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

m-커머스(모바일 상거래) : 전자상거래의 일종

유비쿼터스 : 우리 생활에서 사용되는 모든 사물에 컴퓨터 기능을 내장하고, 이들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인간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촉각 기술 : 진동의 장단과 고저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진동 기호를 만드는 기술

WCDMA :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WiBro : 무선 광대역 /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

펨토셀 :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

WIPI : 위피는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GPS :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텔레매틱스 : Telematics /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차량 무선 인터넷 서비스

IMT-2000 : 나라마다 다른 이동통신 방식을 통일하여 한 대의 휴대용 전화기로 전 세계 어디서나 통화할 수 있도록 만들려는 규칙

스마트 플러그 : 와이파이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능을 추가한 플러그

앱북 : 단말 기기에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는 전자책



출처 :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 신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1) 2017.04.16
신기술 동향 - 기타 신기술 동향  (0) 2017.04.14
신기술 동향 - 인터넷  (0) 2017.04.14
신기술 동향 - 데이터 통신  (0) 2017.04.14

Webkit :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레이아웃 엔진

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VoIP : 인터넷 프로토콜 상의 음성 전송이랑 의미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는 기술

URL :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

Cookie :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특별한 텍스트 파일

IMS :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Multicast : 특정 다수 단말에만 정보를 송신하는 것

Bitcoin : 비트코인 / 온라인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디지털 화폐

RIA :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

ISP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개인이나 회사들에게 웹사이트 구축 및 웹 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

Hashtag : 해시태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

CNAME : 하나의 IP주소에서 여러 개의 서버를 운영할 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

HVC : 고성능 영상 코딩 /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

Trackback :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글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대신 내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내 글의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트랙백 핑을 보내는 것

Webaholism : 웹과 알코올중독의 함성어 / 인터넷 중독증, 인터넷 의존증

Iot : 사물 인터넷 / M2M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

RSS : 매우 간편한 정보 배달 / 업데이트가 찾은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M2M :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Domain Name :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

IP : 인터넷 상에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나 규약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 검색 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

Wikipedia : 위키피디아

Pro-teur : 전문가 같은 아마추어

IPv6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버전

Anycast : 소수 수신자 간의 통신

Unicast : 1 : 1 통신

Semantic Web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Meta Data :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주는 데이터

집단지성 : Collective Intelligence / 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

XML : W3C가 채개한 차세대 인터넷 표준 언어로, HTML의 문법이 각 웹 브라우저에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

Alt-Text : 시각 장애인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글이나 문구

MMS : 미디어 형식의 메시지와 멀티미디어 형식의 메시지 모두 제공

BLOG : 웹과 로그의 합성어

IP TV :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해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TV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

WWW : 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 좋은 종합정보 시스템

디지털 원주민 : 디지털 기술을 어려서부터 사용하면서 성장한 세대

UCC 가이드라인 : UCC 생산과 유통 및 이용에 관한 지침서

관계 기술 : Relation Technology /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UCC : 사용자 제작 콘텐츠

웹 2.0 : 누구나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웹 환경

태그달기 :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검색용 꼬리표인 키워드, 또는 태그를 다는 것

퀵돔(Quickdom) : 짧은 형태의 도메인으로 기억하기 쉽고 주소창에 입력하기도 간편

표면 웹 : 일반적인 검색 엔진으로 검색이 가능한 콘텐츠의 인터넷 환경

인터넷 연동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상호간에 트래픽을 원할하게 소통시키기 위해 구축한 네트워크간 연동 서비스

협대역 사물 인터넷 : 사물 인터넷을 위해 설계된 협대역 무선 기술



출처 :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VPN(Virtual Private Network) : 가상 사설 네트워크

WLAN(Wireless LAN) :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무선 주파수 기술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OFDM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 프로토콜

Multipath Fading : 다중 경로 페이딩

NDN(Named Data Networking) :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수행하는 기술

AMR(Automatic Meter Reading) : 원격 검침

NGN(Next Generation Network) :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GLONASS :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 의료분야에서 임플란트 장치간의 통신 서비스

SDN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NFC : 근거리 무선 통신

SSID :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자

QoS : 서비스의 질

MODEM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과정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신호변환장치

TEIN :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

Telepresence :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

Carrier Aggregation :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확장 기술

NRI : 네트워크 준비 지수

MAN : 도시권 통신망

VOD :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SYN : 동기 상태 부호

TCP/IP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 신뢰성 있는 통신 규약

Protocol : 통신규약

UWB : 초광대역 /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

PICONET :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해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DPM : 디지털 우편소인 / 온라인 자료에 대한 저자적인 우편배달 서비스

HSDPA : 고속 하향 패킷 접속

u-HEALTH : 물리적 공간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첨단 보건의료 기술의 전자적 공간을 연결하여 보건 의료 대상자의 삶과 진료가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

Digerati : Digital + Literati / 디지털 사회에서 정보 통신 산업을 이끌어가는 사람

WBAN : 웨어러블 또는 몸에 심는 현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CTTH : 기존 케이블방송망으로 초고속/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송 방식

PostNet : IT 기반 우편물류 통합 서비스

ZigBee :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

Digital Access Index : 디지털 접근 지수

VMC : 차량 충돌 예방하는 기술

LAN : 근거리 통신망

Network Neutrality : 망중립성 /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GIS : 지리 정보 시스템 / 지리적으로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

IT839전략 : 미래의 정보 기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수립한 IT 성장 전략

USN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ANT+ protocol : 초저전력 무선 센서 넽워크 프로토콜로 상호 운용성을 보장

RadSec 프로토콜 : RADIUS 데이터를 전송 제어 프로토콜이나 전송 계층 보안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BAS : 위성 기반 보정 시스템

GBAS : 지상 기반 보정 시스템



출처 :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무 프로세스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정보 전략 계획)

= 경영전략을 토대로 사업진행에 필요한 정보 체계를 제시하고 그에 맞는 정보 체계 수립

CSF(Critical Success Factor, 핵심 성공 요소)

= MIT 개발/ 성공에 불가결한 요인을 찾아내 경영상 중요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3C 분석 =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 자회사(Company)

SWOT = SO/ST/WO/WT

5-FORCE 분석 = 신규 진입자의 위협, 기존 업계 경쟁,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대체품의 위협

7S 분석

= 전략(Strategy), 시스템(System), 구조(Structure), 공유된 가치(Shared Value), 기술(Skill), 사람(Staff), 스타일(Style)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혁신적인 성과 추구

AS-IS 분석 = 현재 업무 프로세스 분석

TO-BE 분석 = 미래에 구현하고자 하는 업무 프로세스 정의하는 분석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업무 프로세스 관리)

= 업무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 지원해주는 업무처리 자동화 기법

KPI(Key Information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 =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지표를 묶은 평가기준

RTE(Real-Time Enterprise, 실시간 기업) = 실시간 정보 제공을 통해 경쟁력 극대화하는 기업

PI(Process Innovation, 업무 혁신)

= 기존의 업무처리 방식을 정형화하고, 최적의 프로세스를 재구축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는 비즈니스 프로젝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 진흥원 / 모든 자원을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최적화된 기업 활동 가능하게 하는 것

APICS = 점검, 계획까지 해주는 종합 정보시스템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재고품목, 자재의 흐름관리 기법

SEM(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전략적 기업 경영)

- VBM = 기업 가치의 극대화를 기업의 궁극적 목표로함

- ABM = 원가관리체계 / ABC = 원가계산

- BSC =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IRM(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정보 자원 관리)

= 기업의 정보 자원을 조직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자원 관리 원칙에 따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접근방법

ERM(Enterprise Risk Management, 전사적 위험 관리) = 위험을 평가하고 일정한 혀용 한계 내에서 통제 및 관리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불필요한 시간 비용 재고 줄이려는 방법

= 구성요소 : SCP / SCE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제품 수명주기 관리) = 제품의 전체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 고객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 및 관리해 마케팅에 활용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전사적 응용 통합) = 기업 내 어플리케이션들을 유기적으로 연결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기업 정보 포털)

=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하나의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 (e 포털)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 비전문가도 효과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업무 프로세스 아웃소싱) = 모든 업무를 외부 업체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것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 계약) =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맺는 계약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 정보 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 = IT 서비스의 운영 및 관리를 돕기 위한 문서들의 집합

ITSM 구성요소 = 프로세스(Process), 인력(People), 조직(Organization), 기술(Technology)

 

B2C(Business to Customer) = 기업과 소비자 간의 전자상거래

B2G(Business to Government) = 기업과 정부 간의 전자상거래

CALS(Commerce At Light Speed) = 광속 상거래

Escrow = 조건부 양도 증서 / 주로 부동산 거래 시 사용된 것이 전자상거래에서도 사용되고 있음

· ABC(Activity Based Costing) : 활동기준 원가계산

· ABM(Activity Based Management) : 활동기준 관리

·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

· AMR(Automatic Meter Reading) : 원격 검침

· AP(Access Point) : 무선 접속장치

· AppBook(Applicaition Book) : 앱북

·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s) : 지능형 지속 위협

· AR(Argument Reality) : 증강현실

· ATH(Absolute Threshold of Hearing) : 절대 가청 임계

· B2B(Business To Business) :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

Q. 입력 아날로그 데이터의 최대 주파수가 18kHz인 정보신호를 PCM 시스템에서 전송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표본화 주파수(kHz)는?

A.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기 때문에 18kHz이면 36kHz


Q.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부호화하는 방식은?

A. PSK


Q.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전이중 통신 방식은 통신 회선의 효율이 가장 높으며 전화 등에 사용된다.

나. 반이중 통신 방식의 예로는 TV, Radio, 무전기 등이 있다.

다. 단방향 통신 방식이나 반이중 통신 방식의 경우 반드시 4선식 회선이 필요하다.

라. 전이중 통신 방식은 양쪽 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기는 하나 어떤 순간에는 반드시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A. 가


Q. 신호 대 잡음비가 63인 전송채널이 있다. 이 채널의 대역폭이 8kHz라 하면 통신용량(bps)은?

A. C= 8K×+log₂(1+63)

= 8K×log₂64

= 8K×6

= 48000


· HDLC(비트 위주 프로토콜)

- 프레임 단위로 전송 → 전송효율과 신뢰성 높음

- Go back N과 선택적 재전송 ARQ 사용

- 투명성 보장하기 위해 비트 스터핑 사용

-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적용이 가능한 ISO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 점대점 링크 및 멀티포인트 링크를 위한 프로토콜

-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 모두 지원

-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에 의해 흐름 제어 제공

- HDLC 프레임 구조

플래그(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시작과 끝의 동기를 제공, 011111110)

주소부

제어부(프레임의 종류 식별)

정보부

FCS(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 16혹은 32비트)

플래그


Q. 사용 대역폭이 4kHz이고 16진 PSK를 사용한 경우 데이터 신호속도(kbps)는?

A. 16


Q. 전송하려는 부호어들이 최소 해밍거리가 7일, 수신시 정정할 수 있는 최대 오류의 수는?

A. 7>=2n+1

   6>=2n

   3>=n

최대 오류의 수 : 3


· PPP

- IETF의 표준 프로토콜

- 오류 검출 기능만 제공(오류 복구X)

- IP패킷의 캡슐화 제공

- PAP 패킷과 CHAP패킷은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것으로 PPP프레임의 프로토콜 필드 값에 의해 구별


· IPv4를 IPv6으로 전환하는 전략
- 듀얼 스택(Dual Stack)
- 터널링(Tunneling)
= IPv6을 사용하는 컴퓨터가 IPv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과해야할 때 사용
= 캡슐화 및 역캡슐와 사용
= 헤더 변환(Header Translation)
· IPv4 protocol 필드는 IPv6에서 Next Header로 대치

· OSI 참조 모델
- 물리 계층 : 기계적, 절차적, 전기적인 특성 정의, RS-232C
- 데이터 링크 계층 : 기본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 / 흐름제어, 오류 제어, 순서제어 / HDLC, PPP, LLC
- 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설정, 트래픽 제어, 패킷 전달, X.25, IP
- 전송 계층 : 종단 시스템(End-to-End)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 TCP
- 세션 계층 : 대화 제어
- 표현 계층 : 코드변환, 암호화, 압축
- 응용 계층 : 사용자 서비스 제공

· L2CAP Layer : 블루투스 프로토코 구조 중 오류제어, 인증, 아모화를 정의
- RF :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구조 중 물리 계층을 규정
- TTD : 블루투스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방식

· 실제 패킷전달을 위해 통신망 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 X.25
- 물리계층 / 프레임(데이터링크)계층 / 패킷계층

· TCP/IP
- 응용 계층 : TELNET, FTP, SMTP, HTTP, DNS, NNTP(TCP X)
- 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TCP, UDP
-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설정 제공, IP, ICMP, ARP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TCP
- 순서제어, 오류제어, 스트림 전송 기능 제공
- TCP 헤더 : 긴급 포인터, 체크섬, 순서번호
- TCP 프로토콜의 PSH 비트는 빠른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

· IP
-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 IP 헤더의 길이 : 20~60byte / 헤더에 호스트주소 포함
- 간접 전송 : 네트워크상에 최종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아 최종 목적지가 존재하는 라우터까지 전송하는 것

· ARP
- IP주소(논리 주소)를 MAC(물리주소)로 변환
- 네트워크상의 각 호스트가 IP주소와 링크레벨의 주소 사이의 대응을 테이블로 구성

· RTP
- 실시간 특성을 가지는 데이터의 종단간 전송을 제공해주는 UDP 기반의 프로토콜
- Extension : 헤더뒤에 확장됨을 의미

· DNS
- DNS 헤더의 AA : 네임 서버가 권한이 인정된 서버인지 구별

· DHCP
- IP관리를 쉽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
-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

Q. UDP 헤더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가. checksum

나. length

다. sequence number

라. source port

A. 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통신 프로토콜  (2) 2017.02.15
4장 데이터 회선망  (0) 2017.02.15
3장 전송 제어 방식  (0) 2017.02.14
2장 데이터 통신 이론  (0) 2017.02.14
1장 데이터 통신의 기본  (0) 2017.02.14

· 소프트웨어 위기

-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가 하드웨어 개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함

-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에 대한 교육 부족

- 성능 및 신뢰성 부족

- 개발 기간의 지연 및 개발 비용의 증가(개발비용감소X)

- 유지보수가 어렵고, 이에 따른 비용 증가

-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저하, 소프트웨어의 품질 저하

(소프트웨어의 개발 도구 부족X / 개발 인력의 급증X / 소프트웨어 수요의 감소X)


· COCOMO 

-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예측한 후 이를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비용을 다르게 책정

- 비용 견적의 강도 분석 및 비용 견적의 유연성이 높아 소프트웨어 개발비 견적에 널리 통용됨

(COCOMO 방법은 가정과 제약조건이 없어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X)


· 형상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생산물을 확인하고 소프트웨어 통제, 변경 상태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일련의 관리 직업

- 개발과정의 변경사항을 관리하는 것


· 품질 평가 기준 항목

- 정확성 Correctness :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

- 신뢰성 Reliability : 요구된 기능을 오류없이 수행하는 정도

- 효율성 Efficiency :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능력. 필요한 자원의 소요 정도

- 무결성 Integrity :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

- 사용 용이성 Usability :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

- 유연성 Flexibility : 새로운 요구사항에 맞게 얼마만큼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하는 정도

- 이식성 Portability :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할 수 있는 정도

- 재사용성 :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 상호 운용성 : 다른 소프트웨어와 정보 교환할 수 있는 정도

(최적화X / 중복성X / 간결성X / 종속성X / 복잡성X)


· 결합도(Coupling) : 의존하는 정도. 결합도가 약할수록 좋음

- 자료(데이터) 결합도 : 데이터에 대한 처리 결과를 돌려줌. 제일 약한 결합도. 제일 좋음

- 스탬프 결합도 : 자료구조 공유 정도

- 제어 결합도

- 외부 결합도

- 공통 결합도

- 내용 결합도 Content Coupling : 내부 기능 공유 정도


· 응집도(Cohesion) : 모듈 내부의 처리 요소들 간의 기능적 연관도.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 응집도가 강할수록 좋음

- 기능적 응집도(Functional) : 제일 강한 응집도. 제일 좋음

- 순차적 응집도(Sequential)

- 교환(통신적) 응집도(Communication)

- 절차적 응집도(Procedural)

- 시간적 응집도(Temporal)

- 논리적 응집도(Logical)

- 우연적 응집도(Coincidental) : 처리상의 연관이 없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 하향식 통합 검사

- 일시적으로 필요한 조건만을 가지는 임시로 제공되는 시험용 모듈 스터브가 필요(상향식 통합 검사는 스터브 필요X)


· 상향식 통합 검사(Bottom-Up Integration Test)

- 낮은 수준의 모듈들을 Cluster로 결합→Driver라는 제어 프로그램의 작성→Cluster 검사→ Driver를 제거하고 Cluster를 상위로 결합


Q. 상향식 통합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A. 가. 깊이 우선 통합법 또는 넓이 우선 통합법에 따라 스터브를 실제 모듈로 대치함

    나. 검사를 위해 드라이버를 생성

    다. 하위 모듈을 클러스터로 결합

    라.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검사함


Q. 객체지향 기법 중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객체의 성질을 분해하여 공통된 성질을 추출하여 슈퍼클래스를 선정하는 것이다. 즉,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학 객체의 속성 중 가장 중요한 것에만 중점을 두어 개략화, 모델화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와 말이란 클래스에서 "타는 것"이란 클래스를 만드는 것이다.

A. Abstraction 추상화


Q.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CASE의 효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라

A. 가.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표준안 확립

   나.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의 실용화

   다. 문서화의 용이성 제공

   라. 시스템 수정 및 유지보수 확대


Q.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중 활동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기존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과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분석 및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거나 다시 만들어내는 작업

A. Reverse Engineering

· 다중 프로그래밍(멀티 프로그래밍) :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CPU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처리

Q.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CPU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처리하여 컴퓨터 시스템 자원 활용률을 극대화하기위한 프로그래밍 기법은?

A. 멀티 프로그래밍


· PCB(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

- 프로세스 상태

- 프로세스 카운터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 중앙처리장치 레지스터 보관 장소

- 프로세스 고유 구별자

- 부모,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 공유X / 프로세스의 사용 빈도X / 프로세서의 생성 정보X / 파일 할당 테이블X / 할당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X)


Q. 적응기법(Adaptive Mechanism)이란 시스템이 유동적인 상태 변화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다음 스케줄링 기법 중 적응 기법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는 것은?

A. MFQ


Q. 선점 기법과 대비하여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

A. 가.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를 공정히 처리한다.

    나. 응답 시간의 예측이 용이하다.

    다.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라. CPU의 사용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들이 사용 시간이 긴 프로세스로 인하여 오래 기다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스레드(Thread) :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 교착상태 해결방법

- 예방(Prevention)기법

= 상호 배제 부정

= 점유 및 대기 부정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할당하여 프로세스 대기를 없애거나 자원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함

= 비선점 부정

= 환형 대기 부정

- 회피(Avoidance) 기법

=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

= 주로 은행원 Banker 알고리즘에 사용됨

=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불안전 상태라고 함

(불안전 상태의 모든 시스템은 교착상태X / 교착상태를 완전히 배제X / 사전에 교착상태 배제X)

- 발견(Detection) 기법

=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상태가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

= 자원할당그래프 이용

- 회복 기법

= 교착상태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점하여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하는 것


· 기억장치 관리 전략

- 반입(Fetch) 전략 :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

- 배치(Placement) 전략 : 최초 적합 / 최적 적합 / 최악 적합

- 교체(Replacement) 전략 : 페이지교체 알고리즘을 이용


· 가상기억장치

- 페이징 기법

= 내부 단편화

= 하나의 작업을 동일한 크기로 나눔

= 주소 변환을 위해 페이지 맵 테이블 필요

= 페이지 크기를 일정하게 나누어진 주기억장치의 단위를 페이지 프레임

- 세그먼테이션 기법

= 외부 단편화

= 하나의 작업을 서로 다른 크기로 나눔

= 기억장소 보호 방법으로 기억장치 보호키 사용

= 세그먼트 맵 테이블 필요(페이지 맵 테이블X)


· 파일 디스크럽터

- 파일이 액세스되는 동안 운영체제가 관리 목적으로 알아야 할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아 놓은 자료구조

- 파일 디스크럽터의 정보

= 파일 이름, 파일 구조, 보조기억장치의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최종 수정날짜 및 시간 등(오류발생시 처리방법X / 파일내용X)


· 프로세스 연결 방식

- 시분할 및 공유 버스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들 간에 하나의 버스 통신로만을 제공

- 크로스바 교환 행렬 : 공유 버스 시스템에서 버스의 수를 프로세서의 수만큼 증가시킨 구조

- 하이퍼 큐브 : 연결점이 n개인 경우 프로세서는 총 2ⁿ


·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상호 연결 구조 방식

- 공유 버스, 크로스바 스위치, 다단계상호연결망(코드분할스위치X / 큐브X)


· 파일 시스템의 구조

- Boot 부트 블록 : 부팅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Super 슈퍼 블록 : 사용가능한 I-node, 사용가능한 디스크 블록의 개수,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저장, File 시스템마다 각각의 슈퍼블록 가지고 있음

- I-node 블록 : 각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파일소유자, 파일크기, 파일타입, 생성시기, 최종수정시기, 파일링크수,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시작 주소 등

(파일경로명X /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X / 파일의 사용된 횟수X)

'정보처리기사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운영체제의 실제  (0) 2017.02.12
5장 분산 운영체제  (0) 2017.02.12
4장 정보 관리  (0) 2017.02.12
3장 기억장치 관리  (0) 2017.02.10
2장 프로세스 관리  (0) 2017.02.10

Q. 2의 보수 표현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요 이유는?

A. 덧셈 연산이 더 간단하다.


Q. 통상적인 사용자 프로그램을 처리함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CPU)가 가장 많이 실행하는 인스트럭션 종류는?

A. 주기억장치와의 자료 전달(load, store)


이항 연산자 : 사칙연산, AND, OR, XOR, NXOR

단항 연산자 : 이항 연산자 이외에는 모두 단항 연산자

Q. 컴퓨터 연산에서 단항 연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OR


Q. I/O 장치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시스템 사이에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는?

A. I/O 제어기


Q. 기억장치의 자료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밴드폭(bandwidth)이란?

A. 계속적으로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할 때 1초 동안에 사용되는 비트수


Q. 응용프로그램이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완료되기까지 10초가 소요되었다. 같은 응용프로그램에서 4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SMP시스템에서 실행하여 완료되기까지 5초간 소요되었다면 속도 향상 지수는?

A. 2


Q. cache memory에 대한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A. 중앙처리장치가 자주 접근하거나 최근에 접근한 메모리 블록을 저장하는 초고속 저장장치


Q. 16바이트의 블록 크기와 64블록으로 구성된 캐시에서 바이트 주소 1200이 사상되는 블록 번호는?

A. 캐시블록번호 = 메모리블록번호 MOD 캐시블록수

메모리 블록 번호 : 1200/16=75 메모리 블록번호

캐시블록번호 = 75 MOD 64 = 11


Q. 가상(virtual)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A. 주목적은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X)

가상 기억장치의 목적은 주기억장치의 용량 확보이다.(O)


'정보처리기사 > 전자계산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장 병령 컴퓨터  (0) 2017.02.22
6장 기억장치  (0) 2017.02.22
5장 입력 및 출력  (0) 2017.02.22
4장 명령 실행과 제어  (0) 2017.02.22
3장 프로세서  (0) 2017.02.21

정보처리기사 필기 -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7장 병령 컴퓨터


1. 병렬 컴퓨터의 분류

· 플린(Flynn)의 병렬 컴퓨터 분류

- 다중 프로세싱O / 다중 프로그래밍X

- 처리기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처리 속도가 정확하게 배만큼 빨라지는 것은 아님

· SISD
· SIMD
- 배열 처리기 구조
- 여러 개의 처리기가 한 개의 제어 처리기에 의해 제어
- 병렬처리 수행
· MISD
- 실제 사용되기 어려움
- Pipeline Process(2개 이상의 명령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속도개선가능)
- 여러 개의 처리기에서 수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은 각기 다르나 전체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가지는 형태
- 하나의 데이터 흐름이 다수의 프로세서들로 전달되며, 각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는 구조
- 다중 명령어, 단일 데이터 흐름
· MIMD
- n개의 프로세서들이 서로 다른 명령어들과 데이터를 처리


·  병렬 처리시 문제점 : 분할의 문제, 스케줄링의 문제, 동기화의 문제(블록지정의 문제X)


·  연속 로딩 기법 : 기억공간 관리 중 고정 분할 할당과 동적 분할 할당으로 나누어 관리되는 기법


·  RAID-4 : 패리티 디스크에 액세스가 집중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 있어 RAID-5 개발됨


· Systolic : 백터 처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 약식 주소 : 계산기에 의한 주소


· 스테이징 Staging : 대용량의 보조기억장치의 내용을 직접 접근이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컴퓨터 시스템에서 자료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면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사여 저장하기 때문에 한 디스크라도 결함이 생기면 파일 전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신뢰도 낮아짐


· Unicode : ASCII 인식 가능하지만 ASCII에서는 Unicode의 특수문자 인식 불가능


· 가변 우선순위 방식 : 회전 우선순위, 동등 우선순위, 최소-최근 우선순위


· 회전 우선순위 방식 : 가장 우선순위가 낮았던 마스터가 최상위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하는 가변 우선순위 방식


· 데이터 흐름형 컴퓨터 : 최대의 병렬성을 얻을 수 있는 컴퓨터 구조


· Marshalling : 특정 수신기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그 데이터를 조직화하거나 미리 정해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 CISC : 인텔 계열의 거의 모든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서 설계 방식


· RISC : 거의 모든 명령어가 레지스터를 대상으로 하며 메모리의 접근을 최소로 하는 프로세서 설계 방식, 수행속도가 빠름, 명령어 단순


· 파이프라인이 정상적인 동작에서 벗어나게 하는 원인 : 자원 충돌, 데이터 의존성, 분기 곤란(지연된 분기X, 유효주소의 계산X)


· 전파지연 : 평균 전이 지연 시간

'정보처리기사 > 전자계산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계산기 구조 오답노트  (0) 2017.02.22
6장 기억장치  (0) 2017.02.22
5장 입력 및 출력  (0) 2017.02.22
4장 명령 실행과 제어  (0) 2017.02.22
3장 프로세서  (0) 2017.02.21

+ Recent posts